2023년 4월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산 제2캠퍼스에서 열린 삼성디스플레이 신규 투자 협약식에서 세계 최초로 8.6세대 IT용 OLED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2026년까지 4조 1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정부도 디스플레이 산업에 적극적으로 지원을 하기로 했습니다. 오늘은 삼성 디스플레이의 신규 투자에 수혜를 볼 수 있는 삼성디스플레이 관련주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주요 공정
삼성디스플레이 관련주를 알아보기 전에 디스플레이의 주요 공정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 공정과 세부 공정에 따라 서플라이 체인이 다르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OLED 주요 공정
- 기판 : PI Varnish 도포, PI Curing
- TFT : 열처리, ELA, 세정, 증착, 노광, 식각, 박리, 검사
- 유기물 증착 : 증착, Mask
- 봉지
- Laser lift off : LLO
- Base Flim
- Cutting : Cell cutting
- Lamination
- Bonding
- PCB
- 후공정 : 물류, 검사
삼성디스플레이 관련주
삼성디스플레이 관련주로는 주요 공정에 따라 원익IPS(기판), AP시스템(TFT), 케이씨텍(TFT), 에프엔에스테크(TFT), 에스티아이(TFT), 아이씨디(TFT), HB테크놀러지(TFT), 덕산네오룩스(유기물 증착), 힘스(Mask), PI첨단소재(Base flim), 필옵틱스(cutting), 에스에프에이(물류), 톱텍(기타 후공정)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원익IPS, AP시스템, 케이씨텍, 에프엔에스테크, 에스티아이 종목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원익IPS
원익IPS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Solar Cell 제조용 장비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 비중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는 PIC 장비와 증착 공정에 쓰이는 장비인 PECVD와 식각 공정에 쓰이는 Dry Etcher 장비, 봉지 공정에 쓰이는 장비를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원익IPS (240810, 코스닥)
- 시가총액 : 1조 6,713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18.91%
- PER : 18.69배
- PBR : 1.87배
- 배당수익률 : 0.59%
- 주요 주주
: 원익홀딩스 외 5인 : 33.05%
: 삼성디스플레이 : 3.77%
: 삼성전자 : 3.77%
원익IPS의 3년 동안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10,909 | 12,323 | 10,115 |
영업이익 | 1,406 | 1,641 | 976 |
당기순이익 | 987 | 1,451 | 894 |
원익IPS의 주가 차트, PER밴드, PBR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익IPS의 현재 주가는 34,050원이고 PER밴드와 PBR밴드는 최하단부에서 살짝 위로 올라온 모습입니다.
AP시스템
AP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장비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AP시스템의 대표적인 OLED장비는 크게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TFT 과정 중에 ELA장비, OLED 봉지공정 장비인 Encap, 그리고 Laser Lift Off 장비인 LLO입니다.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해 2022년부터는 2차전지 제조장비 사업을 시작하였고 제품명은 레이저 노칭입니다. 레이저 노칭 장비는 양극, 음극 롤을 적절한 길이로 자라는 제조공정용 장비입니다.
AP시스템 (265520, 코스닥)
- 시가총액 : 3,324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10.81%
- PER : 4.04배
- PBR : 1.21배
- 배당수익률 : 1.24%
- 주요 주주
: APS홀딩스 외 4인 : 25.07%
AP시스템의 3년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5,918 | 5,287 | 4,866 |
영업이익 | 463 | 634 | 905 |
당기순이익 | 250 | 572 | 822 |
AP시스템의 주가 차트, PER밴드, PBR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P시스템의 PER밴드와 PBR밴드는 역사적 하단을 터치하고 있습니다. PER가 4.04배 정도로 업종 피어 기업에서도 낮은 편에 속합니다.
케이씨텍
케이씨텍은 반도체 장비,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를 생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케이씨텍의 디스플레이부문은 TFT의 세정 공정에서 Wet station과 식각 공정에서 Wet etcher, 노광 공정에서 Coater의 용도에 맞는 장비와 소재를 제조하여 판매합니다.

케이씨텍 (281820, 코스피)
- 시가총액 : 4,214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10.94%
- PER : 7.61배
- PBR : 0.96배
- 배당수익률 : 1.24%
- 주요 주주
: 고석태 외 4인 : 51.51%
: 국민연금공단 : 5.86%
케이씨텍의 3년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3,199 | 3,445 | 3,782 |
영업이익 | 561 | 521 | 603 |
당기순이익 | 426 | 419 | 554 |
케이씨텍의 주가와 PER밴드, PBR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프엔에스테크
에프엔에스테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와 소재를 만드는 회사로 디스플레이 세정 장비와 식각장비, 그리고 유기물 증착 공정에서 쓰이는 OLED Mask 장비를 만듭니다. OLED Mask는 증착 공정 중에 공통층 및 RGB 증착에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OLED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신규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패널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디스플레이의 신규 투자에 직접적인 수혜를 볼 수 있는 회사입니다.

에프엔에스테크 (083500, 코스닥)
- 시가총액 : 804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3.02%
- PER : 16.73배
- PBR : 1.21배
- 배당수익률 : 1.06%
- 주요 주주
: 한경희 외 10인 : 32.55%
: 한국증권금융 : 5.09%
에프엔에스테크의 최근 3년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919 | 661 | 676 |
영업이익 | 111 | 24 | 58 |
당기순이익 | 82 | 9 | 40 |
에프엔에스테크의 주가와 밸류에이션 차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스티아이
에스티아이는 1997년 7월에 설립된 회사로 Chemical 중앙공급시스템, 세정 공정과 식각장비, 검사장비를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EXYTE, SK하이닉스 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포토트렉시스템 장비를 수주하며 기존의 CF 공정 설비뿐만 아니라 OLED 전공정 설비 및 터치 패널 생산까지 진출에 성공한 회사입니다.

에스티아이 (039440, 코스닥)
- 시가총액 : 2,059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8.39%
- PER : 6.90배
- PBR : 0.88배
- 배당수익률 : 1.92%
- 주요 주주
: 성도이엔지 외 3인 : 27.06%
에스티아이의 최근 3년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2,691 | 3,195 | 4,224 |
영업이익 | 154 | 256 | 348 |
당기순이익 | 107 | 232 | 298 |
에스티아이의 주가와 PER밴드, PBR밴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늘은 삼성디스플레이 신규 투자 소식에 따른 수혜 기업에 대해 알아보고 주요 공정에 따른 매출 구성과 주가 및 밸류에이션, 종목의 개요를 살펴보았습니다.
※ 본 포스팅은 특정 종목이나 특정 금융상품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투자의 최종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공부를 위한 목적의 글이며 투자를 절대 권유하지 않습니다.
'국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폭스(원숭이두창) 관련주-분자진단 (0) | 2023.04.13 |
---|---|
삼성전자 10년간 주가와 실적, 밸류에이션(ft.통계적접근) (0) | 2023.04.11 |
대신증권우 배당금, 배당일 정리(2023년) (1) | 2023.04.09 |
코엔텍 배당금, 배당일(2023년)/주가와 전망 (0) | 2023.04.09 |
경동나비엔 배당, 배당금(2023년)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