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엘리뇨 현상이 대두되면서 식품 가격이 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로 흘러가면서 우크라이나 밀 수확량이 15% 이상 감소하고 밀 비축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장기적으로 에그플레이션을 피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오늘은 곡물 가격 상승에 따라 수혜를 볼 수 있는 곡물 관련주, 식량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곡물, 식량, 사료 관련주
곡물, 식량, 사료관련주는 한일사료, 팜스토리, 조흥, 미래생명자원이 있습니다.
한일사료
한일사료는 배합사료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기업으로 1968년에 설립이 되었고 199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한일사료의 매출 구성입니다. 수입육이 매출의 62.83%를 차지하고 축우나 양계에서 37% 정도 차지합니다.
한일사료의 주가는 2022년 15,850원까지 올랐다가 현재는 4,270원입니다.
한일사료
- 시가총액 : 1,683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0.96%
- PER : N/A
- PBR : 3.11배
N/A라고 표시되는 이유는 PER = 주가 / EPS인데 EPS는 당기순이익을 주식 총수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당기순이익이 적자면 0보다 작은 값이기 때문에 N/A로 표시됩니다.
한일사료의 최근 3년간의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3,316억 | 3,558억 | 4,083억 |
영업이익 | 34억 | 136억 | -82억 |
당기순이익 | 23억 | 74억 | -141억 |
팜스토리
팜스토리는 1991년 설립되어 1996년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사료사업부, 육가공사업부, 가금사업부가 있으며 각 사업부별 주요 매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료사업부의 배합사료가 전체 매출에서 56.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육, 양돈매출, 닭고기, 곡물 등이 매출액의 나머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팜스토리의 10년간 주가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팜스토리
- 시가총액 : 1,749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1.02%
- PER : N/A
- PBR : 0.84배
- 배당수익률 : 1.59%
팜스토리의 최근 3년간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는 억 원입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9,654 | 10,339 | 15,137 |
영업이익 | 220 | 251 | 314 |
당기순이익 | 272 | 49 | -68 |
2022년은 매출액이 많이 증가하여 외형성장을 이루었지만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하였습니다.
그 이유를 전자공시시스템에 조회를 해보았습니다.
팜스토리 매출액 or 손익구조 변동 원인
1. 곡물가 상승에 따른 사료부문 판매 단가 상승
2. 가금부문 지분 추가 취득에 따른 연결대상 증가
3. 한우시세 하락에 따른 생물자산평가손실 증가
4. 연중 환율상승 및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
조흥
조흥은 1959년 조흥화학공업회사로 설립이 되어 2004년 상호를 조흥으로 변경하고 식품 및 식품 첨가물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2010년 자연치즈 제품에 HACCP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2012년 빵류 및 냉동피자, 도우에 대한 HACCP 인증획득을 하였고 2013년에는 식물성크림, 슈레드치즈, 빵크림, 소스류에 대해 HACCP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법인은 (주)조흥, (주)본델 이 있으며 주요 제품과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스트, 빵크림, 치즈 등에서 매출의 76.1%를 차지하고 피자제조에 쓰이는 치즈가 매출 비중의 23.8%를 차지합니다.
조흥의 10년간 주가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흥
- 시가총액 : 1,242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0.00%
- PER : 11.16배
- PBR : 0.81배
- 배당수익률 : 3.14%
조흥의 최근 3년간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단위는 억 원입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2,226 | 2,509 | 3,240 |
영업이익 | 118 | 191 | 150 |
당기순이익 | 75 | 161 | 111 |
2022년 매출액 증가와 영업이익 감소, 당기순이익 감소에 대한 주요 원인은 최근 공시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조흥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 주요 원인
1. 매출액 증가 : 매출단가 상승으로 실적 개선
2. 영업이익 감소 : 원재료 가격 상승
3. 법인세비용, 차감전 이익의 감소 : 영업이익, 물류창고 화재보상금(일시적)
4. 당기순이익 감소 : 자회사의 매출증대를 위한 사업 확장
미래생명자원
미래생명자원은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2017년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사업 부문은 사료 부문과 식품 부문으로 나뉘며, 종속회사 푸드트리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수입과 식품 생산등으로 매출을 일으키고 있으며 위룸은 애견용품 브랜드 "엘르독"으로 자사몰 및 온라인 플랫폼으로 매출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미래생명자원의 국내 사료부문이 매출액의 49%를 차지하고 식품부문이 17%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해외 사료부문 매출이 33% 정도 차지합니다.
미래생명자원의 주가는 다른 식품주, 사료주와 차트가 비슷합니다. 2022년 최고 12,900원을 경신하고 하락하여 현재 3,860원입니다.
미래생명자원
- 시가총액 : 768억
- 외국인 보유 비율 : 0.65%
- PER : 56.16배
- PBR : 1.79배
미래생명자원의 최근 3년간 실적을 알아보겠습니다. 단위는 억 원입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 | 475 | 667 | 756 |
영업이익 | 14 | 19 | 16 |
당기순이익 | 10 | 11 | 8 |
'국내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배당 리츠 ETF(국내) 총 정리 (0) | 2023.04.01 |
---|---|
일진디스플레이 주가 및 전망 분석 (0) | 2023.03.29 |
황사 관련주, 미세먼지 관련주 (0) | 2023.03.25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관련주 (0) | 2023.03.19 |
솔루엠 주가, 기업분석-ESL의 기대감 (0) | 2023.03.14 |